What a Beautiful Data!

OKR로 정리하는 데이터 분석가의 글또 8기 스타트 다짐 + 제품의 탄생 Insight 리뷰

by darami

글또 8기, 왜 시작했나?

  • 단순히 나만 보기 위한 글이 아닌, 남이 보기 쉽고 유익한 글을 쓰고 싶다는 니즈가 있었다.
  • 비슷한 직군의 사람들과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정보를 공유하고 싶었다.
  • 재밌을 것 같았다.

그래서, 원하던 걸 이룰 수 있을 것 같나?

: 우선 기대 이상이다. 

 

소홀히 했던 감사일기 습관을 다시 들이고자 감사해또 소모임을 만들고 매일 출근 후 감사 일기를 쓰며 하루를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고 있다. 감사해또를 만들고 일기를 쓴 지 약 11일 정도가 되었는데, 아직까지 끊기지 않고 매일 기록하고 있다. 다양한 분들이 매일 함께 참여해주고 계셔서 계속 쓸 수 있는 것 같다. 또 OT때 성윤님의 PPT를 보고 많이 배웠다. 간결하게! 

  • 기록 갱신 간다!!

챗GPT에게 물어보는 감사일기 잘 쓰는 법
번역본

글또에서는 자유롭게 소모임을 만들고, 참여할 수 있어서 현재 8기에도 정말 다양한 소모임이 존재한다.
(냥또,멍또,달려또,책또,헬또,커피또,밈또 등..) 다양한 사람들과 좋은 습관을 형성하고 싶어 이런 모임에 들어갔고 소소한 재미와 정보들을 얻을 수 있었다. 

 

물론 아직 시작 단계지만.. 미흡하지만 OKR을 통해 목표를 구체화 해 보고자 한다. 

6개월 동안의 글또 8기를 통해 이루고 싶은 것 ver. OKR 

- 최대한 지표화 하려고 노력했지만....

 

O (Objective) : 다시 참고할만한 , 유용한 글을 꾸준히 쓴다.  

KR (Key Result) : 1. 글또 8기 차감 금액 0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. 월간 블로그 방문 수 4천 이상 달성 (역대 최대 : 357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O (Objective) : 글 쓰고, 책 읽고, 감사하고, 운동하는 습관을 들인다.         

KR (Key Result) :  1. 글또 8기 차감 금액 0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2. 6개월 읽은 책 6권 이상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3. 11자 복근 appearance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4. 감사해또 감사일기 기록 120건 이상 

 

O (Objective) : 데이터 분석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한다. 

KR (Key Result) : 1. 통계 지식을 나만의 언어로 적은 글 2건 이상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. 깃헙 커밋 1월 대비 300% 이상 증대 

 

O (Objective) : 커리어와 관련해서 이게 맞나..? 하는 우왕좌왕을 덜 한다. 

KR (Key Result) : 1. 닮고 싶고, 배울 수 있는 데이터 직군 멘토 1명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. 함께 공부하고, 정보를 공유하고,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 동료 3명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3. 강점 혁명 진단 업데이트, Hyeram report 2023 ver 작성 

 

Concern Point

- 지금도 너무 바쁘다.. 영어 회화 스터디도 3개월치 끊었고.. 태블로 커뮤니티도 등록해야 하고.. 나.. 다 할 수 있을까?

Action Item : 바쁘니까 더더욱 체력을 기르자. 운동에 돈을 일단 쓰고 보자!  

- 너무 잘 쓰려고 노력하다가 마감일을 놓칠 수 있을 것 같다.

Action Item : 일단 완성한다는 느낌보다는 프로토타입 느낌으로 초안을 쓰고 피드백을 받는다는 느낌으로 쓰자! 

 

 

제품의 탄생 리뷰 

사수 없는 데이터 분석가 모임에서 모인 66일 책 읽기 챌린지 선정 도서

데이터 분석가지만 초기 스타트업에서 일하고 있기 때문에 액션 아이템을 제시할 때, 프로덕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느꼈다. 3시간 동안 데이터 분석가 분들과 스터디하면서 다 함께 공감했던 점은 아래와 같다. 

1. 정말 백과사전처럼 친절하게 나와있어 두고두고 꺼내서 볼 책이다. (PMP라는 PM 시험보다 훨씬 자세하다고 한다.)
2. 저자가 얼마나 당한 게 많았으면.. (거의 PM 브이로그, 하루 일과표도 나온다.)
3. 혼자 읽어서는 소용없다. 같이 읽어야 한다. 

때문에 현업에 적용할 포인트들이 많았고,

사내 PM 분에게도 소개해 드리니 빌려가신다고 해서 정말 이 책 사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! (회사 돈인건 안 비밀..) 

 

인용문 & Insight

그나저나 모두가 빵 터졌던..웃지만 웃을 수 없어..

- 기획의도 : '누구'를 '어떤 상태'로 만들고 싶은가, 왜 우리 회사가 만들어야 하는가' , 우리 회사만이 제공할 수 있는 가치는 무엇인지 이해함으로써 강력한 프로덕트를 만들 수 있다.

 

- 프로덕트 인터뷰

1) 첫 번째 인터뷰: 프로덕트가 해결하고자 하는 고충과 이득을 타깃 사용자가 실제로 겪고 있는가를 검증하기

2) 두 번째 인터뷰 : 그 프로덕트가 사용자의 고충과 이득을 해결하고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

 

주의할 점 : 단순히 많은 사용자 X , 반드시 가설을 세워 인터뷰에 임하고, 해결해야 할 고충과 이득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, 열린 질문을 위주로 /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순서대로 나열해 주세요, 어떤 조건으로 검색하나요? 등으로 진솔한 답변 유도

 

- 프로덕트 지향점을 한 장으로 정리하기 -> 자사 린 캔버스 작성하기 , 경쟁사 분석할 때 경쟁사의 린 캔버스 작성해 보면 어떤 전략으로 pmf를 노리고 있는지가 보인다.

 

- 타깃 사용자와 가치의 조합 고르기 : '어떤 사람'을 '어떤 식으로 만족시킬지' 세분화해 보기

ex) 댕냥이 없는 20대 여성의 회원 가입 후 이탈하지 않도록

 

- 프레젠테이션, PREP : Point(결론) Reason(이유) Example(사례), Point(결론) 순으로 얘기하기

 

- 성공적인 스토리텔링의 4요소

1) 청중도 이미 잘 알고 있는 것 , 경험한 것부터 시작한다.

2) 예상하지 못한 내용을 넣는다.

3) 간명한 핵심 메시지 전달, 정보량 너무 많으면 X

4) 구체성과 신뢰성

 

스토리텔링의 목적: 핵심 메시지 기억한 채 돌아가서 행동에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것

 

- 북극성 지표(NSM) 155p 5가지 기준 참고하여 NSM/OMTM 설정하기

 

- 멘털 모델 다이어그램, 행동 탑 쌓기 163p 참고하여 작성하기

블로그의 정보

다람

darami

활동하기